중국 경제는 최근 수십 년간의 놀라운 성장을 이룩했지만 최근 '피크차이나'로 불리는 위기론으로 알 수 있듯이 더 이상 과거와 같은 성장 동력은 잃어버린 것일지도 모른다.
최근 중국 경제는 왜 위기라고 하는걸까.
부채
지난 수십 년 동안 중국의 급격한 성장에는 중앙관리기업과 지방 정부에 의한 적극적이고 분에 넘친다고 볼 수 있는 투자에 의해 이루어졌다. 이로 인한 국가 부채의 급격한 증가는 금융 안정성에 대한 시장의 불안과 금융 위기 우려를 불렀다.
중국 경제 위기의 뇌관으로 떠오른 지방정부 부채에 대한 이자 지급액이 처음으로 1조 위안을 돌파하며 위험을 더욱 고조시키고 있다.
부동산
중국 정부차원의 부동산 부양책의 결과는 부동산 가격 폭등으로 이어졌으며 과잉 공급과 겹치며 대규모 미분양 사태로 이어졌다. 수요는 정체됐고 이로인한 거대 부동산 기업들의 부채와 자금 조달 문제는 중국 경제 전체의 금융 안정성을 뒤흔들었다.
IMF는 최근 중국 부동산업계의 재편이 시급하다고 지적하며 이로 인해 금융 위기를 부를 수 있다고 경고했다. 중국은 부동산 위기가 아니라고 반박하고 나섰지만 공급에 치중된 부동산 대책은 수요 촉진 측면에서는 여전히 뚜렷한 대안이 없는 듯 보여 우려를 낳고 있다.
인구문제
인구 고령화와 출산율 저하는 신규 주택 수요 둔화로 이어져 부동산 시장의 회복을 장기적으로 기대하기 어렵다 하고 있으며 부동산을 넘어 중국 경제 성장을 제한하는 가장 큰 문제로서 중국 경제 성장 원동력의 근간이 무너지고 있으며 노동력을 기반으로 한 세계 제조 공장의 타이틀을 빠른 시일 내에 인도에 넘겨주게 될 거라고 예측하고 있다.
무역갈등과 제로 코로나
미국을 포함한 주요 경제국 간 지속적인 무역 갈등은 중국의 수출에 상당한 문제를 만들며 수출 경제를 위축시켰으며 제로코로나 정책으로 내수 경제마저 어려움을 겪었다.
리오프닝
중국의 경제 활동 재개는 수요 측면에서 세계 경제 활성화에 대한 기대를 낳았지만 시장은 금세 충분치 않은 수요와 경제 정책에 대한 우려와 실망감이 더 커지는 모양이다.
-
리오프닝으로 중국 경제 회복에 대한 기대가 커지면서도 그만큼 중국 경제에 대한 우려도 여전한 때이다.
정찰풍선 사건으로 인한 미중갈등 재폭발 우려도 커지고 있다.
투자에 있어서 중국 경제 상황에 대해 속단하기엔 이른 때인 듯하다.
※ 참조. 중국경제 '낙관론' 관련글
2023년 중국 경제 '피크차이나' 와 '바닥론'
'피크 차이나' 중국은 지난 3년간의 제로코로나 정책으로 경제가 큰 타격을 입었고 부동산 시장도 붕괴 우려가 확산되고 있다. 중국의 지난해 경제성장률 3%는 목표치인 5.5%의 절반 수준으로 이
aksho.tistory.com
'Wild View'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트코인, 2024년 역사적 상승장온다 (2) | 2023.11.01 |
---|---|
긍정적인 고용 데이터가 달러 강세를 만드는 이유 (0) | 2023.02.20 |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 대응하기 (3) | 2023.02.06 |
'킹달러'는 정말 끝난걸까? (3) | 2023.01.24 |
2023년 중국 경제 '피크차이나' 와 '바닥론' (0) | 2023.01.20 |
트럼프 대통령 세금 탈루 폭로 파산 위기? (0) | 2020.09.29 |
코로나 재확산이 심상치않다. 세계경제이슈 2020.09.28 (1) | 2020.09.26 |
미국 증시 금융위기의 전조인가 (0) | 2020.09.06 |
댓글